울릉도·독도 연안에 ‘독성 플랑크톤’[경향신문, 2024.12.23.]
◎ 울릉도·독도 연안에 ‘독성 플랑크톤’ 수온 상승, 제주도 등서 북상 / 해양 생태계·건강 위험 초래 [경향신문, 2024년 12월 23일] ○ 울릉도와 독도 연안에서 독성을 가진 아열대성 플랑크톤이 처음 발견됐음 - 제주도와 포항 연안에 주로 서식하던 아열대성 플랑크톤이 수온 상승의 영향으로 북상해 정착했다는 분석이 나옴 - 경기도·서울대학교 공동출연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: 울릉도와 독도 연안에서 독성을 가진 부착성 와편모조류의 출현을 국내 최초로 발견해 학계에 보고했음 : 부착성 와편모조류는 해조류나 산호초, 돌과 모래 등에 붙어 서식하는 플랑크톤임 : 대량으로 번식하면 방출된 독성물질이 해양 생물에 축적되고, 이를 섭취한 생물 역시 중독되는 만큼 해양 생태계, 수산 자원, 인간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 - 연구팀 : 지난 6월과 9월, 울릉도와 독도 연안에서 다이빙을 통해 부착성·부유성 플랑크톤을 채집하고 이를 배양·분석했음 : 연구팀은 아열대성 와편모조류 13개 단종배양체를 확립하고 형태학·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8종으로 분류했음 : 울릉도에서는 오스트레옵시스·쿨리아 말레이엔시스·프로토세라티움 등이, 독도에서는 쿨리아 카나리엔시스와 갬비어디스커스가 발견됐음 : 이 중 오스트레옵시스·쿨리아 말레이엔시스와 쿨리아 카나리엔시스는 제주도와 포항 연안에서 발견된 종과 매우 유사한 계통이다. 제주도로부터 동해안을 거쳐 울릉도로 유입됐을 가능성이 제기됨 - 연구팀 : 남쪽에서 발견되던 독성 플랑크톤이 울릉도·독도까지 북상한 이유로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을 들었음 : 울릉도 해역의 수온은 최근 30도에 달함 : 25도 이상 되는 날이 연간 2개월가량 지속하는 등 제주 연안과 비슷한 수온 상승을 보이고 있음 : 고수온 환경은 아열대성 플랑크톤 정착에 주요한 요소임 - 연구팀 : “단종배양체 일부를 대상으로 한 독성 실험 결과 맹독성이 확인됐다” : “해양 생태계와 수산 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”고 했음 ○ 링크 - 울릉도독도연안에독성플랑크톤[경향신문, 2024.12.23.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