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도 집쥐 퇴치에 새로운 방법 필요···'적정 관리 통한 박멸' 대안으로 떠올라[대구MBC, 2025.06.24.]

  • 등록: 2025.06.30
  • 조회: 2

◎ 독도 집쥐 퇴치에 새로운 방법 필요···'적정 관리 통한 박멸' 대안으로 떠올라
[대구MBC, 2025년 6월 24일]

◀앵커▶
- 대한민국의 동쪽 끝 독도에 외래종인 집쥐가 급증하면서 생태계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는 보도 전해드렸음
: 전문가들은 단기간에 집쥐를 박멸하는 것보다 '적정 관리 통한 박멸'로 정책 방향을 전환할 것을 조언하고 있음

◀기자▶
- 천연보호구역 독도에는 2008년 처음 집쥐가 목격된 뒤, 150마리까지 급증했음
: 대구지방환경청의 의뢰로 '독도 집쥐 관리 사업' 용역을 맡았던 대구대학교 조영석 교수팀에 따르면
: 2024년 5월부터 10월까지 무인 센서 카메라에 집쥐가 716차례 포착됐음
: 서도 주민 숙소에서 359차례로 가장 많았고, 동도 헬기장에서 126차례 발견됐음
: 독도 전역에 집쥐가 퍼져있는 상황임

- 집쥐는 조류의 알과 새끼를 잡아먹고, 벼과 식물을 뜯어먹으며 곳곳에 굴을 파는 등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음
: 특히 독도에서만 사는 식물인 독도 해국과 독도 갯장대까지 위협하고 있어 심각한 상황임
- 독도 집쥐는 유전자 분석 결과 울릉도에서 배를 통해 들어온 것으로 확인됐음
: 암수 한 쌍이 1년에 최대 460마리까지 새끼를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강함

- 조영석 대구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
: "한 쌍의 암수가 (독도에) 들어왔을 거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 얘가 이렇게 많은 수의 쥐로 퍼져 나갔기 때문에 지금도 남아 있는 개체가 아주 적은 수가 남아 있어도 폭발적으로 증식할 수 있습니다."

- 집쥐는 시력은 약하지만, 후각과, 청각, 촉각이 매우 발달해 포획도 쉽지 않음
: 환경 당국과 지방자치단체가 독도 집쥐 박멸에 나섰지만 번번이 실패했음
: 울릉군청이 2019년과 2020년, 독도 집쥐 포획에 나서 95마리를 잡아냈지만 박멸하지 못하는 등 포획과 번식이 되풀이되고 있음

- 조영석 대구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
: "여기서 남은 한 마리까지 잡고, 혹시 남아 있는 게 모르니까 몇 년 이상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추가적인 것들을 설치해 갖고는 계속 살펴봐야 하는데···"

- 새로운 퇴치 방법
: 집쥐의 주요 은신처를 중심으로 특수 덫과 무인 센서 카메라를 활용해 지속적으로 포획해 개체군 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방식임
: 이러면 생명 주기가 짧은 집쥐는 태풍과 가뭄, 기온 급변 등의 자연적 환경 교란으로 독도에서 박멸할 수 있음

- 조영석 대구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
: "독도 크기의 작은 섬에서 외래종으로 유입됐던 쥐를 잡아서 성공한 케이스는 전 세계적으로 너무 많습니다."

- 대구지방환경청은 집쥐 개체 수를 관리하면서 박멸하는 방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음

- 신상엽 대구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장
: "최대한 한 마리라도 더 솎아 내는 게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해는 좀 더 자주 이렇게 가서 이제 포획을 해서 나올 수 있는 그런 사업을 좀 해보려고 (준비 중입니다.)"

- 환경 당국은 독도의 집쥐 문제를 20년 가까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
: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환경 당국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통해, 집쥐를 퇴치할 수 있을지 주목됨

○ 링크 - 독도집쥐 퇴치에새로운방법필요[대구MBC, 2025.06.24.]

상단으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