울릉도 독도가 간직한 12가지 이야기…광복 80주년과 함께 2025년 달력제작[경북매일, 2024.12.29.]
◎ 울릉도 독도가 간직한 12가지 이야기…광복 80주년과 함께 2025년 달력제작 [경북매일, 2024년 12월 29일] ○ 울릉도·독도관련 달력을 제작해 전국에 홍보하는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(대장 김윤배) - 광복 80주년 기념해 2025년 달력을 울릉도 독도의 광복과 관련 다양한 이야기를 주제로 제작했음 -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: 2025년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, 광복 80주년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울릉도 독도에 펼쳐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달력을 제작했다고 밝혔음 - 1월은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독도의 반수면 모습을 담았음 : 2024년 8월 15일 광복절에 즈음해 일본의 독도영토주권 훼손을 불식시키고자 촬영한 독도 모습임 - 2월은 울릉도 사동항의 겨울 풍경임 : 겨울철에도 대형 카페리호가 포항~울릉 간(풍랑경보제외) 매일 왕복운항하고 있음 : 울릉주민과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들의 발이 되는 울릉크루즈 관계자에게 전하는 감사의 마음을 담았음 - 3월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된 제주출향해녀의 울릉도 물질모습임 : 사진의 모델은 김복선 해녀다. 돌아가신 제주출신 남편(강영길 님)께서도 독도어장을 관할하는 도동 독도어촌계 계장을 역임했음 - 4월은 동해안 최초의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울릉도 떼 배 돌미역 채취어업 모습임 : 사진의 모델은 작고한 울릉도 현포의 최해관 어르신임 - 5월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이자 해양보호생물인 해송을 실었음 : 울릉도 독도에는 보호하지 않으면 사라질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음 - 6월은 해무에 쌓인 울릉도 모습 : 울릉도는 연평균 맑은 날이 약 50일로 기상청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맑은 날이 가장 적은 곳임 : 울릉도의 특산식물인 명이의 잎이 타지역의 산마늘에 비해 크게 넓은 것도 일조량이 적은 이유와 관련 있음 - 7월은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의 주변 풍경을 담았음 : 2025년도 유례없이 고수온이었던 2024년 같이 다양한 아열대, 열대 생물들이 울릉도 독도 바다에 출현할 것으로 보임 : 우리나라에서 가장 빠르게 열대화되는 바다가 울릉도 독도 바다임 - 8월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독도의 모습, 특히 독도의 한반도 바위 모습을 담았음 : 독도에는 한반도 모양이 있음 : 그 모양이 우리의 정서를 잘 대변하고 있음 : 광복 80주년을 맞는 독도. 2025년에도 해양과학으로 잘 지키겠다는 뜻임 - 9월은 70여 년 만에 재현된 울릉도 옥수수 신발을 담았음 : 옥수수 신발은 울릉도의 문화특징을 잘 보여주는 신발임 : 개척기 울릉도 주민들은 볏짚이 부족해 짚신이 아닌 옥수수 껍질로 신발을 만들었음 - 10월은 1960년대 오징어 건조풍경과 함께 슬로푸드 맛의 방주로 지정된 울릉도 토속요리 : 비록 위기로 울릉도 오징어산업은 급감을 넘어 붕괴 직전이지만, 100여 년의 울릉도 삶이었던 오징어가 울릉도 100년을 상징하는 문화로 재조명되기를 응원하기 위해서임 - 11월은 울릉도 저동항 풍경을 담았음 : 울릉도는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. 갈라파고스 연구자조차 그 수려한 모습에 감탄한 곳이 울릉도임 : 그 지질학적 가치가 더 널리 알려졌으면 하는 바램임 - 12월은 하늘에서 본 독도임 :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보다 많은 사람이 독도와 울릉도를 찾고, 독도 울릉도의 숨겨진 가치를 더 많이 알고 갔으면 하는 마음을 담았음 -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: “2025년에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고, 2024년 국가어업유산 울릉도대회의 후속사업으로 울릉도에서 국가중요어업유산 학생대회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”고 밝혔음 : 특히 “2025년에도 해양연구기지는 수온상승으로 아열대성을 변하는 바다와 관련한 다양한 해양생태계 조사를 활발히 진행 하겠다” : “울릉군과 함께 울릉도오징어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여러 절차를 활발히 진행할 예정”이라고 말했음 ○ 링크 - 울릉도독도가간직한12가지이야기광복80주년과함께2025년달력제작[경북매일, 2024.12.29.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