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방큰돌고래 서식 서귀포 신도리 바다 '해양보호구역'으로[연합뉴스, 2025.04.01.]
◎ 남방큰돌고래 서식 서귀포 신도리 바다 '해양보호구역'으로 송대말등대 구등탑·울릉 독도등대·태안 격렬비열도등대, 등대유산으로 [연합뉴스, 2025년 4월 1일] ○ 해양수산부, '2025년 제1회 해양수산발전위원회'를 열었음 - '제주 신도리 해양보호구역 지정(안)'을 의결했음 : 남방큰돌고래가 서식하는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리 인근 바다가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됨 : 남방큰돌고래 서식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임 : 2016년 가로림만 보호구역(점박이물범), 2019년 고성 하이면 보호구역(상괭이)에 이은 우리나라 세 번째 해양생물보호구역임 - 해수부 : 지난 달 17일부터 31일까지 정책 심의기구인 해양수산발전위원회를 열어 신도리 해양보호구역 지정안 등 4건을 심의, 의결했음 : 이번 위원회에서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한 2.36㎢ 면적의 신도리 인근 바다는 해양 보호 생물인 남방큰돌고래의 주요 서식지임 : 인도양과 서태평양에 주로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는 국내에서 120마리 미만의 개체가 무리를 지어 서식함 - 해수부 관계자 : "해양보호구역 관리계획을 수립한 뒤 주민 지원 사업 등 보호구역 관리 사업을 추진할 예정“ : "관련 절차를 마무리한 뒤 지정(안)을 확정·고시할 계획"이라고 설명했음 - 이번 위원회에서 '한국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(안)'도 심의·의결됐음 : 이번 시행계획은 '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(2023~2027)'의 3차 연도 시행계획임 : 해양수산 분야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기술 혁신을 위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계획이 담겼음 : 연구 개발 성과 확산을 위한 정책·제도적 지원을 위해 연구개발 사업에 상용화 전략 제출·평가를 의무화하고, 산학연 협동 연구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이 포함됐음 - 위원회, '신규 등대유산 신규지정(안)'도 심의·의결했음 : 경주시 송대말등대 구(舊)등탑과 울릉군 독도등대, 태안군 격렬비열도등대 등 3개소를 등대 유산으로 지정하고 체계적으로 보존·관리하는 내용임 : 송대말등대 구등탑은 건립 50년이 지난 국내 등대 중 유일하게 등대 유산으로 지정되지 않은 곳으로, 고대 로마와 그리스 건축에서 영감을 받아 대칭·비례·균형을 중요시하는 '팔라디안' 양식으로 건축돼 유산적 가치가 있음 : 독도등대와 격렬비열도등대도 각각 동해 최동단, 서해 최서단 섬에 위치한 등대로, 역사와 상징적 의미를 인정받았다고 해수부는 설명했음 ○ 링크 - 남방큰돌고래서식서귀포신도리바다해양보호구역으로[연합뉴스, 2025.04.01.]